토요타의 Direct Shift-CVT – 발상의 전환
며칠 전 토요타에서 TNGA 플랫폼 기반의 파워트레인을 공개하면서 재미있는 CVT를 발표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새로 발표된 CVT의 이름은 Direct Shift-CVT로 기존의 CVT와 차별되는 특징은 정지상태에서 차를 출발시키기 위한 발진 전용의 기어가 따로 있고...
호기심이 깊어질 때 찾는 공간입니다.
며칠 전 토요타에서 TNGA 플랫폼 기반의 파워트레인을 공개하면서 재미있는 CVT를 발표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새로 발표된 CVT의 이름은 Direct Shift-CVT로 기존의 CVT와 차별되는 특징은 정지상태에서 차를 출발시키기 위한 발진 전용의 기어가 따로 있고...
이전 글(토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이해)에서 토요타의 하이브리드 시스템(THS)의 동작 원리를 설명했는데 작년 하반기의 LC500h와 LS500h의 출시와 함께 보다 진보된 멀티 스테이지 하이브리드(Multi Stage Hybrid) 시스템이 등장하여 다시 글을 남깁니다. 이번 글은 토요타 하이브리드...
토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Toyota Hybrid System, THS)이 처음 등장한 시점이 1997년이니 세상에 나온지 20년 가까이 된 시스템이긴 합니다만 이제서야 동작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여 한 번 정리합니다. 웹에서 자료를 찾는 과정에서 영어로 된 자료는 풍부한 반면 우리말로...
얼마 전 WWDC 2017에서 iOS 11의 새 기능들이 발표됐습니다. iOS 11 소개중에 제일 관심이 갔던 부분은 사진앱의 개선이었는데 라이브 포토와 관련하여 추가된 몇 가지 기능들이 흥미로웠습니다. 지금까지의 라이브 포토는 단순히 JPEG 포맷 사진 1장과...
이 글은 이전 글에서 이어지는 글 입니다. 이번 글은 Streaming Multiprocessor의 구조를 중심으로 Maxwell에서 Volta까지의 nVidia GPU 아키텍처의 변화를 다루며 이전 글은 Tesla부터 Kepler 까지의 아키텍처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전 글 : nVidia GPU 아키텍처 변천사...
얼마전 2017년 GTC(GPU Technology Conference)에서 새로운 GPU 아키텍처인 Volta가 공개된 김에, 처음 unified shader가 탑재됐던 Tesla 시절부터 지금의 Volta까지 nVidia의 GPU 아키텍처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 정리해 보려 합니다. 아키텍처 이름은 유명한 수학자나 과학자의 이름을 따와...
ArsTechnica는 즐겨찾는 사이트 중의 하나인데, 최근 몇 종류의 차량에 대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현황을 잘 정리한 기사가 올라와 내용을 요약해 봅니다. 원문의 기사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The state of the car computer: Forget horsepower,...
올해 4월초 구글에서 개발한 TPU(Tensor Processing Unit)와 관련된 ISCA 논문이 공개됐습니다. TPU는 딥러닝의 inferencing에 특화된 가속기로 2013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2015년 부터 구글의 데이터센터에서 실제로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성능과 관련된 데이터가 쌓이고 자세한 내용이 논문을 통해...
ARM사는 프로세서 설계 및 라이센싱으로 널리 알려졌지만 Mali GPU를 비롯하여 System-on-Chip(SoC) 설계에 필요한 on-chip interconnect(NIC/CCI), 메모리 컨트롤러, 동영상 코덱,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등 다양한 IP를 제공하는 회사이기도 합니다. 자동차용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ADAS) 탑재와 관련된...